![](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gVHLW/btrqn948XUt/6rmWbQqy7cXxxUvq2i6Qik/img.png)
들어가며 React, Vue 등을 활용하여 개발한 웹서비스는 대부분 SPA로 개발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SPA 에도 명백히 단점이 존재하고, 해당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위와같은 SPA 프레임워크를 쓰면서도 SSR이 되어야 하는 상황이 존재할 것이다. 그러한 것을 가능하게 하는 Next.js, Nuxt.js 등의 프레임워크가 있는 것이고 그 중에서도 오늘은 Nuxt.js 의 Universal Mode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시작하기에 앞서서 CSR, SSR 부터 정리해보자. CSR (Client Side Rendering) React, Vue 등을 활용한 SPA (Single Page Application) 에서 사용되는 방식 최초 한번의 페이지에 대해서만 서버로 부터 받은 다음, 이후에는 필요한 데이터만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sdoIu/btrcNNhOG7w/1IWpCHIipDKBr7UrxjVbC0/img.png)
거의 1년 가까운 기간동안 글을 쓰지 않았다. (아무도 관심은 없다만) 그동안 이직준비도 하고.. 실제로 정말 오고싶었던 곳으로 이직도 했고.. 여러모로 블로그에는 신경을 못썼다 일단 원래 있던 곳에서는 백엔드/프론트엔드 가리지 않고, 업무별로 나누어서 개발을 해왔다가 새로운 곳에는 FE개발자로 입사를 하게 되었다. 오자마자 무슨 깡이었는지, 기존 프로젝트를 nuxt 기반으로 바꿔버리겠다고 자신만만하게 큰소리 쳐버렸고(nuxt 해본적 없었음ㅋ) 부랴부랴 구글링하며 개발하느라 첫 한달동안은 시간이 정신없이 흘러갔던 것 같다. 개발하면서 나의 노근본에 대해서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으며 팀원들한테 누가 되지 않도록... 열심히 배워야 함을 느끼고 있다.. 아무튼 전환 작업이 다되어가는 시점인 지금부터 짜잘짜..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프링부트
- es6
- await
- 야누자이
- 테스트코드
- nuxt
- javascript engine
- 모듈시스템
- 프로미스
- 근본
- KCD
- vuejs
- CommonJs
- 인텔리제이
- vue
- springboot
- 빌더패턴
- javascript
- nuxtjs
- event loop
- intellij
- 근본설
- Builder
- jest
- promise
- 자바스크립트 엔진
- 이벤트루프
- KCD2019
- vue.js
- 자바스크립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